[뉴스큐브] 신규확진 1,704명…현행 거리두기 2주 연장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는 1,700명대 초반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오는 8일 종료될 예정이었던 현행 '사회적 거리두기'를 22일까지 2주간 더 연장하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,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국내 신규 확진자가 1천704명 늘었습니다.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 비중도 연일 40% 안팎을 오가는 상황이고요. 확진자 수가 벌써 31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가면서 장기화하는 양상인데, 현재 추세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 정부가 수도권 4단계, 비수도권 3단계 거리두기를 2주 더 연장하고 사적모임 인원 제한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앞서 상황이 반전되지 않으면 더 강력한 조치를 언급한 바 있지만, 아직 거리두기 효과를 보기엔 이르다는 시각도 있는 것 같습니다?<br /><br /> 다만 정부는 방역수칙 중 실효성·수용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현장 의견 등을 반영해 조정하기로 했습니다. 추가 방역 조치로 그간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다중이용시설 영업 제한 강화 등이 거론되기도 하는데요. 어떤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국내 4차 대유행을 주도하며 우세종으로 자리매김한 델타형 변이가 위험한 이유는 전파력이 높다는 점이죠. 확진자가 이미 떠난 카페에서 같은 탁자에 앉았다는 이유만으로 감염된 사례도 있다고요?<br /><br /> 다음 주부터 만 18∼49세 1천577만 명을 위한 접종 사전예약이 본격적으로 진행됩니다. 그간 사전예약 시스템의 접속 장애 및 오류로 불편을 빚기도 했는데, 이번엔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를 기준으로 10부제로 예약이 진행됩니다. 지난 50대보다도 대상자가 훨씬 더 많은데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편 백신을 맞은 뒤 사지마비 증상을 보인 40대 간호조무사가 산업재해 인정을 받았습니다. 이는 백신 접종 후유증이 산재로 인정된 첫 사례인데요. 의학적 인과성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더라도 업무상 관련성에 따라 승인받을 수 있다는 점이 이번 사례에 적용됐다는 분석인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